혜니니의 공부방
[국비지원] 210128 제어문/for문 본문
21 01 28

INDEX
01 제어문 마무리
02 반복문
01 제어문 마무리
조건식이 맞으면 실행되는 단일 IF문 |
둘 중 하나를 실행하는 IF / ELSE 문 |
여러가지 조건식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다중 IF/ELSEIF/ELSE 문 |
Switch -case : 여러개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switch문 * 정수식: 결과물이 정수 * 일치하는 case를 실행하고, break를 만나거나 switch 끝부분을 만날때까지 실행된다. switch(정수식or 문자열도 가능하다){ case 상수: break; case 상수: break; .... default: *디폴트가 마지막이라 break를 넣지 않아도 된다. } switch케이스는 범위를 표현할 수 없다. 범위를 지정하는건 주로 if 문을 사용하고, 단순하게 정수 한 개로 equal하는 부분에서는 switch가 편하다. 사용은 가능하지만 범위와같은 조건을 if/else 를 사용하고 참과 거짓을 가르는데는 swirch를쓴다. * 정수형 == 판별문은 switch가 더 깔끔하게 사용 가능하다. |
02 FOR 문
for(초기식;조건식;증감식;){
조건식이 true일때 실행하는 것
} 으로 반복되어 실행되는 반복문이다.
이거는 예시를 드는 코드.
내가 헷갈렸던 부분 : 변수 앞에 자료형을 붙이면 선언이 되는 것이다
ex) main 메서드 안에서 int count를 선언하고 for문 내에서 count를 사용할 수 있다. 하지만 for문 식 내에서 int count를 선언하면 중복으로 사용할 수 없다! 이거 조금 헷갈렸는데 코드 몇번 쳐보니까 바로 이해했다.
package com.coconut.hey5;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Loop_01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count= sc.nextInt();
for(int i=0;i<count;i++) {
System.out.println("Hello world");
}
}
}
'공부 기록 > 자바 프로그래밍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국비지원]210204 (0) | 2021.02.04 |
---|---|
[국비지원]210201 배열 (0) | 2021.02.01 |
[국비지원] 210127 연산자 마무리, 제어문 (0) | 2021.01.27 |
[국비지원] 210126 자료형과 연산자 (0) | 2021.01.26 |
[국비지원] 210125 Java 개요 (0) | 2021.01.25 |